잡다한 팁

티스토리(Tistory) 블로그 구글검색 노출을 위한 사이트맵 등록하기

무에르떼 2019. 3. 2. 09:23

안녕하세요.


최근 블로그질을 시작했습니다. ㅋㅋ


네이버 검색, 구글 검색에 등록을 했는데, 사람들이 제 블로그에 잘 들어오지 않더군요. 


그래서 좀 더 찾아보니, 사이트맵 등록을 통해 각 검색엔진에서 제 블로그를 좀 더 찾기 쉽게 하는 방법이 있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본인 블로그의 사이트맵을 생성하고, 구글 웹마스터 도구에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 사이트맵 등록 순서 ]


 사이트맵 생성 → 본인의 블로그에 사이트맵 업로드 → 구글 웹마스터 도구에서 사이트맵 Url 등록

 




1. 사이트맵이란?


 사용자 혹은 크롤러가 웹사이트를 이용할 때 웹사이트의 접근 가능한 페이지의 목록을 말한다. 사이트맵은 웹사이트의 웹페이지를 계층적으로 분류한 목록으로, 해당 웹사이트를 구성하고 있는 전체 구조를 보여주며, 웹디자인을 계획하는 문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는 사이트를 사용하는 사용자나 검색엔진이 자신들이 찾고자 하는 웹페이지를 찾을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네이버 지식백과] 사이트맵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네이버 지색백과의 검색결과입니다.


간단히 "사용자 또는 검색엔진이 찾고자 하는 웹페이지를 잘! 찾을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가 요지입니다.



2. 사이트맵 생성하기


자 그럼 사이트맵을 생성하러 가볼까요?


검색해보니 사이트맵을 생성해주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그 중 다음 사이트를 이용하여 사이트맵을 생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www.check-domains.com/sitemap/index.php



위 그림과 같이, 


- Site URL : 본인의 티스토리 블로그 주소 입력

- Frequency - Priority : Always 로 변경 (기본값은 Monthly 입니다.)


그리고 나서 "Create Sitemap" 버튼을 클릭합니다.

→ 시간이 꽤 걸립니다.

    그리고 본인의 블로그에 게시글이 많을수록 더 오래 걸립니다.



사이트맵 생성이 완료되면 페이지 하단 "XML sitemap Download" 버튼을 클릭하여 사이트맵을 다운로드 합니다.


이렇게 사이트맵 생성이 완료되었습니다.


사이트맵은 구글검색 노출과 네이버검색 노출에 모두 사용됩니다.



3. 티스토리 블로그에 xml 파일 업로드하기


다운로드 받은 sitemap.xml 파일은 본인의 티스토리 블로그에 업로드하고, 업로드된 사이트맵의 Url을 확인하는 과정이다.


본인의 티스토리 블로그로 이동하여 글쓰기를 클릭한다.



- 우측 상단의 기본설정에서 "비공개" 로 변경한다.

  (사이트맵은 검색엔진에 노출되기 위한 수단이다. 이 포스트를 공개로 설정할 필요가 없다.)


- '파일'을 선택하고 위에서 생성한 sitemap.xml 파일을 첨부한다.


그리고 "발행" 버튼을 클릭하여, 글을 포스트 한다.



포스트한 글에서 첨부파일을 등록한 sitemap.xml 파일을 우클릭하고, "링크주소 복사" 를 선택한다.


붙여넣기를 하면 다음과 같은 Url 이 보여져야 한다.


http://poooiuy.tistory.com/attachment/cfile1.uf@993F243A5C79DCF33B96E3.xml



4. 구글 웹마스터 도구에 사이트맵 등록하기


이제 위에서 복사한 사이트맵 Url을 구글 웹마스터 도구에 등록하는 일만 남았다.


구글 웹마스터 페이지로 이동한다.


https://www.google.com/webmasters/



구글 웹마스터 페이지에서 "SEARCH CONSOLE" 버튼을 클릭한다.


좌측 메뉴에서 "색인 > Sitemaps"를 클릭한다.


우측 창에 내 Sitemap 주소를 붙여넣기 하고, "제출" 버튼을 클릭한다.



사이트맵 등록이 완료된 모습

(상태는 주기적으로 사이트맵을 읽고나면 정상으로 변경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