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 SP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SQL - Join
SQL - Index
티스토리(Tistory) 블로그 네이버검색 노출을 위한 RSS/사이트맵 등록하기 네이버에서 내 블로그의 글이 잘! 또 제대로! 검색되기 위한 방법으로 "RSS/사이트맵" 을 등록하는 절차에 대해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아주 간단한 절차이니 잘 보고 따라해보시기 바랍니다. 네이버에 RSS/사이트맵을 등록하기위해서,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를 이용합니다. https://webmastertool.naver.com 1. RSS 등록하기 RSS란? [ rich site summary/really simple syndication/RDF site summary ] 업데이트가 빈번한 웹사이트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다 쉽게 제공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XML 기반의 콘텐츠 배급 포맷을 말한다.'RDF site summary(RDF 사이트 요약)', 'rich site summary(풍부한 사이트 요약)' ..
티스토리(Tistory) 블로그 구글검색 노출을 위한 사이트맵 등록하기 안녕하세요. 최근 블로그질을 시작했습니다. ㅋㅋ 네이버 검색, 구글 검색에 등록을 했는데, 사람들이 제 블로그에 잘 들어오지 않더군요. 그래서 좀 더 찾아보니, 사이트맵 등록을 통해 각 검색엔진에서 제 블로그를 좀 더 찾기 쉽게 하는 방법이 있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본인 블로그의 사이트맵을 생성하고, 구글 웹마스터 도구에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 사이트맵 등록 순서 ] 사이트맵 생성 → 본인의 블로그에 사이트맵 업로드 → 구글 웹마스터 도구에서 사이트맵 Url 등록 1. 사이트맵이란? 사용자 혹은 크롤러가 웹사이트를 이용할 때 웹사이트의 접근 가능한 페이지의 목록을 말한다. 사이트맵은 웹사이트의 웹페이지를 계층적으로 분류한 목록으로, 해당 웹사이트를 구성하고 있는..
티스토리(Tistory) 블로그 구글검색 등록하기 티스토리 구글검색 등록하기 구글검색에 본인의 티스토리 블로그가 노출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구글 검색 등록은 구글 웹마스터 페이지를 통해 신청합니다. https://www.google.com/webmasters/ "SEARCH CONSOLE" 버튼을 클릭한다. 시작속성은 "URL 접두어"를 선택하고, 본인의 티스토리 URL을 입력한 후 "계속" 버튼을 클릭한다. 버튼을 클릭하면 소유권확인을 위한 팝업창이 표출된다. 소유권 확인 방법은 "HTML 파일" 을 업로드 하는 방식을 권장하고 있으나, 티스토리는 HTML을 업로드하는 형태를 허용하지 않으니 "다른 확인 방법 > HTML 태그" 를 선택한다. "HTML 태그" 를 선택하면 META 태그를 티스토리에 등록할 수 있도록 코드를 보여준다..
쉽게 따라하는 티스토리(Tistory) 블로그 네이버검색 등록 네이버 검색등록을 위해 네이버 웹마스터도구를 이용한다. http://webmastertool.naver.com/ 1. 사이트 간단 체크하기 접속된 화면에서 "사이트 간단 체크하러 가기" 를 클릭한다. 사이트 추가에 본인의 tistory 주소를 입력하고, "추가" 버튼을 클릭한다. 2. 소유 확인하기 위 화면에서 추가된 url 우측에 "소유확인하기" 를 클릭한다. "HTML 태그" 방식을 선택하고, [메타태그] 라고 표시된 녹색코드를 Drag 해서 복사한다. 그리고 본인의 Tistory 사이트에 접속하여 가장하단에 표시된 "관리자" 를 클릭한다. 블로그 관리 페이지로 이동한 화면 좌측메뉴에서 "꾸미기 > 스킨편집" 을 클릭한다. 우측 상단에 "html 편집" 버튼을 클릭한다. "html 편집" 버튼을 클릭..
Java 다운로드 및 설치하기 Oracle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JDK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 ■ 설치파일 다운로드 https://www.oracle.com/technetwork/java/javase/downloads/index.html 본인이 원하는 Version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면 된다. JDK를 클릭한다. 자신의 PC에 맞는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 그리고 왼쪽 LNB(Left Navigation Bar) 영역을 보면 여러형태의 Java 에디션이 보이는데, 구분은 다음과 같다. - Java SE : Java Standard Edition - Java EE : Java Enterprise Edition - Java ME : Java Micro Edition 일반적으로 Java개발자는 SE 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면 된다..
STS(Spring Tool Suite) 다운로드 및 설치하기 STS는 Spring Framework을 사용하기 위한 Eclipse IDE 이다. STS는 Eclipse + Spring 조합이라고 보면된다. ■ 설치파일 다운로드 https://spring.io/tools 에 접속하여 설치파일을 다운로드한다. 자신의 PC환경에 맞는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압축해제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압축해제한 폴더를 열어, 실행파일 SpringToolSuite.exe 를 실행한다. 파일을 실행하면 Workspace를 지정하는 창이 표시된다. Workspace는 자신이 생성한 Project 들이 저장되는 공간이다. 적당한 위치를 선택하고 Launch 버튼을 클릭한다.(Workspace를 묻지 않겠다는 Checkbox를 Check해야, 다음 실행 시 이 창이 다시..
Linux 특정 IP의 port가 열렸는지 확인하기 Linux 에서 다른 서버로의 Port가 열렸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 > nc -z [IP Address] [Port] Example> nc -z xxx.xxx.xxx.xxx 8080 여기서 -z expression이 port를 지정하는 옵션이다. nc는 netcat을 의미하며, nc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다음과 같이 설치하면 된다. > yum install nc